본문 바로가기
TIL/C#

배운 변수 유니티에 호출

by jaemmm 2020. 8. 24.

 

어제 int float string bool 이 4가지의 함수를 공부했는데

이번에는 이 배운 것들을 비주얼 스튜디오에 입력해서 유니티에 직접 호출해보도록 하겠다.


먼저 Sprite를 생성해 C#스크립트를 만들어서 열어준다.

그 후 만든 스크립트를 드래그해서 오른쪽의 Inspector의 Add Component에 드롭해주면 스크립트 적용 끝

이렇게 되면 이제 이 C#스크립트는 저 Sprite에게 명령을 내릴 수 있게 된다.

 

변수값은 전 글의 예시를 입력하였다

간단하게 어제 예시로든 함수들을 사용해 Log를 호출해 보았다. 

Debug.Log의 사용법은 Debug.Log("문자열") / Debug.Log(변수명) 이다.

이 메서드는 정말 많이 사용하는 메서드로써 디버깅을 할 때는 필수이다.

 

 

호출을 해본다면 오른쪽 유니티의 Console창에 보면 스크립트에 작성한 값이 호출된 것을 볼 수 있다.

스크립트에 변수 age = 26으로 선언했기 때문에 Debug.Log(age)의 값이 26으로 출력되었다.

 

 

체크를 제대로 하지않을 경우 나중에 버그가 나니 꼭 체크

int age = 26 위에 보면 //1. 변수라고 적어둔 것이 보일 텐데 앞에 // 을 달아주는 것을 주석이라 한다.

주석은 실행되지 않는 메모와 같은 역할은 한다. 즉, 호출에는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이다.

 

오늘은 간단하게 변수를 직접 유니티에 호출하는 것을 해보았다.

아직 영타가 익숙하지 않아서 하나하나 입력하는데도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 영타도 연습할 필요성이 있다고 느낀다.

 

다음 시간에도 계~~~~속

'TIL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자열 연산자  (0) 2020.09.04
연산자  (0) 2020.09.02
그룹현 변수(2)  (0) 2020.08.30
그룹형 변수  (0) 2020.08.27
C#의 기초  (0) 2020.08.24

댓글